Posts

기업의 컴플라이언스, 늘어나는 가이드라인…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기업의 컴플라이언스 늘어나는 가이드라인…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7월 11일, 2022 by  이 서정     최근 국민권익위원회에서는 공기업을 대상으로 “청렴윤리경영 컴플라이언스 가이드라인(K-CP)”을 발표했다. 국민권익위는 이전부터 공기업들의 청렴 및 반부패 활동을 지원해왔다면서 K-CP를 통해 보다 기업들의 적극적인 청렴윤리경영 실천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아직 우리나라 같이 CP운영에 대한 개념이 자리잡지 못한 국가에서는 어느정도 정부의 개입 또는 제도화가 필요하다는

Read More »

ISO 37301:2021 국내 활용의 한계 및 우려

ISO 37301:2021 국내 활용의 한계 및 우려 12월 06일, 2021 by  이준길 ISO 37301:2021의 공식 명칭은 Compliance Management Systems 다. 이는 흔히 알려진 Compliance & Ethics Program 보다는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설명하는데 있어 더 정확하다고 할 수 있으며, ISO가 ‘경영시스템 (management system)’에 대한 표준 (standard)을 제정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관성 있는 명칭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Read More »

ESG 경영의 허점: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의 부재?

ESG경영의 허점: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의 부재? 9월 28일, 2021 by  이 서정     현재 ESG경영은 기업들에게 있어 필수과제로 자리잡았다. 이미 수많은 컨설팅 회사, 국제조직, 기업들이 ESG 보고서를 쏟아냈고, 국내외로 ESG 관련 세미나와 포럼들이 개최되고 있다. 처음 개념이 떠오른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지금, 우리는 ESG가 무엇인지, 관련규제는 무엇인지, 또 평가지표에는 뭐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들은 손쉽게

Read More »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과 유사제도의 구별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과 유사제도와의 구별 준법감시인제도와의 구별 금융관련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준법감시인제도는 고객의 자산을 위탁받아 운용하는 금융산업의 특성상 상시적인 엄격한 내부통제의 필요성때문에 도입된 제도로서, 내부통제기준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는 업무가 주요 업무라는 점에서 비록 임직원에 대한 법규준수교육실시, 내부통제기준 준수를 위한 매뉴얼 작성 및 배포 등의 자율준수업무와 중복되는 점은 있지만 엄격한 내부통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이 특색이다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