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먼저 당해 조직이 처한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직상황의 이해를 위한 목록이 4장 1절에 나열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신설 조직이 아닌 이상, 그 동안의 경험으로 뇌물과 관련된 자신의 활동이 무엇인지, 어떤 이해관계자가 뇌물 제공을 요구하거나 혹은 뇌물제공의 대상이 되는지 잘 알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국가에 따라 또는 최근 법령의 개정으로 뇌물제공행위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주의하여야 한다.
갭분석은 ISO 37001의 요구수준과 당해 조직의 수준과의 간극에 대한 분석이다. 설문조사 혹은 담당자 인터뷰 등을 통해 분석이 이루어지는데, 좀 더 상세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련 자료 및 활동에 대한 체크리스트가 잘 준비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뇌물방지 경영시스템의 구축 과정에서 약간의 오차 정도는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준비가 철저할 경우에는 갭 분석에 오랜기간이 필요하지 않다.